다음은 心(마음 심)과 人(사람 인)을 부수로 하는 한자 恐(두려울 공), 余(남을 여)에 대해서이다.
恐 두려울 공 余 남을 여
이들 한자들은 다음과 같은 문장에서 쓰여진 예를 볼 수 있다.
- これは発症すると必ず死亡する恐ろしい病気です。
- 夜分恐れ入ります。
- ご配慮いただき恐れ入ります。
- 自分を変えることを恐れない。
- 長文になって恐縮です。
- ご賛同いただき恐縮です。
- 激しい恐怖を感じてパニックになった。
- 時間が余ったので近くの本屋に入りました。
- 本来の能力を余すところなく発揮する。
- 心に余裕を持ちたいです。
- 目が見えないので余計に集中してしまう。
읽는 방법과 뜻은 본문에서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.
✔心(마음 심)을 부수로 하는 한자
❚ 475 ❚ 恐 두려울 공
1) 쓰는 방법

<필순>

心(마음 심)을 부수로 하는 총 10획의 한자이다. 위쪽은 공구와 공구를 든 사람의 모양이다. 아래쪽은 마음을 나타낸다. 큰 공구를 든 사람을 보고 느끼는 공포스러운 마음을 나타낸다.
2) 뜻
두렵다는 의미이다. 단독으로 두렵다, 무섭다, 두려워하다, 무서워하다는 의미로 쓰인다. 다른 한자와 결합하여 공포, 공축, 공갈과 같은 한자어를 구성한다.
3) 읽는 방법
▶훈독:おそ(れる,ろしい) ▶음독: きょう
훈독은 おそ(れる), おそ(ろしい)로 각각 무서워하다, 무섭다는 의미이다. 恐(おそ)れ入(い)る는 감사하고 죄송스럽게 생각하다는 의미이다. 음독은 きょう로 恐縮(きょうしゅく:공축, 감사하고 죄송스럽게 생각함), 恐怖(きょうふ:공포), 恐喝(きょうかつ:공갈)과 같은 한자어를 구성한다.
4) 예
- 恐(おそ)れる: 두려워하다, 무서워하다
- 恐(おそ)れ入(い)る:후의를 감사하게 생각하다. 폐를 끼쳐 죄송스럽게 생각하다. 격식을 차린 말. 문어적.
- 恐(おそ)ろしい: 무섭다, 두렵다
- 恐縮(きょうしゅく):공축, 후의나 폐 끼침에 감사하고 죄송스럽게 생각하다. 격식을 차린 말. 문어적.
- 恐怖(きょうふ):공포
- 恐喝(きょうかつ):공갈
5) 문장
- これは発症(はっしょう)すると必(かなら)ず死亡(しぼう)する恐(おそ)ろしい病気(びょうき)です。
- 夜分(やぶん)恐(おそ)れ入(い)ります。
- ご配慮(はいりょ)いただき恐(おそ)れ入(い)ります。
- 自分(じぶん)を変(か)えることを恐(おそ)れない。
- 長文(ちょうぶん)になって恐縮(きょうしゅく)です。
- ご賛同(さんどう)いただき恐縮(きょうしゅく)です。
- 激(はげ)しい恐怖(きょうふ)を感(かん)じてパニックになった。
6) 해석
- 이것은 발증하면 반드시 사망하는 무서운 병입니다.
- 밤중에 죄송합니다.
- 배려해주셔서 감사합니다.
- 자신을 바꾸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는다.
- 장문이 되어서 죄송합니다.
- 찬동해주셔서 감사합니다.
- 심한 공포를 느끼고 패닉 상태가 되었다.
✔人(사람 인)을 부수로 하는 한자
❚ 476 ❚ 余 남을 여
1) 쓰는 방법

<필순>

人(사람 인)을 부수로 하는 총 7획의 한자이다. 위쪽은 부수로 사람을 의미하지만 여기에서는 모양으로 해석된다. 뚜껑 모양으로 본다. 아래는 공기에 담은 음식을 나타낸다. 남은 음식에 뚜껑을 닫아 놓은 모습으로 남다는 의미가 된다.
2) 뜻
남다는 의미이다. 단독으로 남다, 남기다는 의미의 동사로 쓰인다. 다른 한자와 결합하여 여분, 여유, 쓸데없음, 여백과 같은 말을 구성한다.
3) 읽는 방법
▶훈독:あま(る,す) ▶음독:よ
훈독은 あま(る), あま(す)로 각각 남다, 남기다는 의미이다. 음독은 よ로 余分(よぶん:여분), 余裕(よゆう:여유), 余計(よけい:쓸데없음), 余白(よはく:여백)와 같은 한자어를 구성한다.
4) 예
- 余(あま)る:남다
- 余(あま)す:남기다
- 余分(よぶん):여분
- 余裕(よゆう):여유
- 余計(よけい):쓸데없음, 불필요함, 지나침
- 余白(よはく):여백
5) 문장
- 時間(じかん)が余(あま)ったので近(ちか)くの本屋(ほんや)に入(はい)りました。
- 本来(ほんらい)の能力(のうりょく)を余(あま)すところなく発揮(はっき)する。
- 心(こころ)に余裕(よゆう)を持(も)ちたいです。
- 目(め)が見(み)えないので余計(よけい)に集中(しゅうちゅう)してしまう。
6) 해석
- 시간이 남아서 근처의 책방에 들어갔습니다.
- 본래 능력을 남김없이 발휘하다.
- 마음의 여유를 가지고 싶습니다.
- 눈이 보이지 않아 지나치게 집중해 버린다.
◖소리한자 余(남을 여) ◗
余(남을 여)는 소리한자로 쓰이기도 한다. 除(덜 제), 徐(천천히 서), 叙(서술할 서), 斜(비스듬할 사), 途(길 도), 塗(칠할 도)과 같은 한자에서 소리한자로 쓰인 余(남을 여)를 볼 수 있다.
- 余(남을 여) 훈독:あま(す)등 음독:よ (예)余分(よぶん):여분
- 除(덜 제) 훈독:のぞ(く) 음독:じょ,じ (예)除外(じょがい):제외
- 徐(천천히 서) 훈독:‐ 음독:じょ (예)徐々に(じょじょに):서서히
- 叙(서술할 서) 훈독:‐ 음독:じょ (예)叙述(じょじゅつ):서술
- 斜(비스듬할 사) 훈독:なな(め) 음독:しゃ (예)斜面(しゃめん):사면
- 途(길 도) 훈독:‐ 음독:と (예)途中(とちゅう):도중
- 塗(칠할 도) 훈독:ぬ(る) 음독:と (예)塗料(とりょう):도료
이상이 心(마음 심)과 人(사람 인)을 부수로 하는 한자 恐(두려울 공), 余(남을 여)에 대해서였다. 처음에 본 문장을 다시 한 번 확인해 본다.
- これは発症すると必ず死亡する恐ろしい病気です。
- 夜分恐れ入ります。
- ご配慮いただき恐れ入ります。
- 自分を変えることを恐れない。
- 長文になって恐縮です。
- ご賛同いただき恐縮です。
- 激しい恐怖を感じてパニックになった。
- 時間が余ったので近くの本屋に入りました。
- 本来の能力を余すところなく発揮する。
- 心に余裕を持ちたいです。
- 目が見えないので余計に集中してしまう。
- これは発症(はっしょう)すると必(かなら)ず死亡(しぼう)する恐(おそ)ろしい病気(びょうき)です。 무서운
- 夜分(やぶん)恐(おそ)れ入(い)ります。죄송합니다
- ご配慮(はいりょ)いただき恐(おそ)れ入(い)ります。 감사합니다
- 自分(じぶん)を変(か)えることを恐(おそ)れない。 두려워하지 않는다
- 長文(ちょうぶん)になって恐縮(きょうしゅく)です。 죄송합니다
- ご賛同(さんどう)いただき恐縮(きょうしゅく)です。 감사합니다
- 激(はげ)しい恐怖(きょうふ)を感(かん)じてパニックになった。 공포
- 時間(じかん)が余(あま)ったので近(ちか)くの本屋(ほんや)に入(はい)りました。 남아서
- 本来(ほんらい)の能力(のうりょく)を余(あま)すところなく発揮(はっき)する。남김없이
- 心(こころ)に余裕(よゆう)を持(も)ちたいです。여유
- 目(め)が見(み)えないので余計(よけい)に集中(しゅうちゅう)してしまう。지나치게
'한자공부_중급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240] 일본어 중급 한자 479-480 (N3 한자 手 부수 한자) (0) | 2023.04.11 |
---|---|
[239] 일본어 중급 한자 477-478 (N3 한자 女十 부수 한자) (0) | 2023.04.06 |
[237] 일본어 중급 한자 473-474 (N3 한자 心 부수 한자) (0) | 2023.03.30 |
[236] 일본어 중급 한자 471-472 (N3 한자 心 부수 한자) (0) | 2023.03.28 |
[235] 일본어 중급 한자 469-470 (N3 한자 心 부수 한자) (2) | 2023.03.23 |
댓글